부산성동교회 이병석 목사의 성경지명 강해
성경지명(59):앗달리아와 버가
사도행전 14:23~28
광범위 지역: 길리기아 - 밤빌리아 - 루기아 - 아시아 - 무시아 -비두니아-본도
(가운데; 브루기아 - 비시디아 - 갈라디아 - 갑바도기아)
1.밤빌리아(Παμφυλία,Pamphylia)
➀루기아와 길리기아 사이 / 토로스 산맥과 지중해 사이
○동서 120km, 남북 48km의 평야
➁밤빌리아는 「도리아 부족」 중의 하나인 부족 이름이다.
(※ 「도리아 인」? 그리스 산악 지대에 살고 있던 민족으로
펠레폰네소스 반도 - 크레타를 거쳐 터어키 남쪽 지방으로 이주하게 된 부족.)
○역사적 자료로는 로마의 폼페이우스가 점령(Bc 67년) 하기 전까지
「밤빌리아인」은 토착인과 혼혈로 대부분은 해적으로 활동했다.
○고대의 자료는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한 지역으로 나온다.(기후적)
➂성경에서의 밤빌리아
○예수님이 승천하고 난 뒤의 오순절 때 밤빌리아의 유대인들도 예루살렘에 많이 왔었다.(행2:10)
이 오순절 때 온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그들이 살고 있는 지방의 언어로 방언하는 것을 들었다.
○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과 바나바는 이 지역에 속한
앗달이아와 버가를 지나 토로스 산맥 하단을 넘어 비시디아 지방으로 갔다.
- 귀로에도 다시 밤빌리아를 지나왔다.
○바울이 로마로 재판 받으로 가는 과정이 완전한 완행(?) 배를 타고 가는데 이곳도 지나간다.
- 행전 27장; 아드라뭇데노 배/ 시돈 -구브로 해안 - 길리기아와 밤빌리아 바다 -루기아의 무라市/
무라에서 「알렉산드리아 배」(곡물선)로 바꾸어 타고 「그레데」로 건너간다.
(시돈에서 무라까지는 약 15일 정도 걸렸다.)
2.앗달리아
➀앗달리아(Αττάλεια(Attaleia)=안탈로스의 성읍)
○현 안탈리아
○당시는 밤빌리아의 주 성읍.
○소아시아 베르가마(페르가몬=「버가모」)의 앗탈루스2세(BC 159~138년)가 설립하여 그의 이름을 붙였다.
➁성경과 앗달리아
○사도 바울의 1차 전도여행지로 지나가고 복귀하는 경유지였지만 복음을 전한 구체적인 것은 없다.
- 가는 과정에서는 아예 앗달이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바울과 및 동행하는 사람들이 바보에서 배 타고 밤빌리아에 있는 버가에 이르니」(행13:13)
- 돌아오는 과정?
「비시디아 가운데로 지나서 밤빌리아에 이르러 말씀을 버가에서 전하고
앗달리아로 내려가서 거기서 배 타고 안디옥에 이르니~ 」(행14:24~26)
3.버가(Περγη, Perga)「망대」
➀지중해로 흘러드는 현 Aksu 강 하구 12km 내륙으로 항구.
○현; 무르타나((Murtana)
○「아르테미스」를 섬기고 있었고,, 토착민적 요소가 강하여 복음을 전하기 어려웠다.
➁성경과 버가
○바울의 1차 전도 여행시 통과 지점
○마가 요한이 여기까지 왔다가 예루살렘으로 되돌아 가 버렸다.
「버가에 이르니 요한은 그들에게서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고」(13:13)
⇨ 구브로 살라미도 아니고, 수리아 안디옥도 아닌 어머니가 있는 예루살렘으로...
- 마가 요한은 바나바의 생질, 1차 전도여행 중 구브로의 「살라미」에서 수행원으로 동참.
행 13:5 “살라미에 이르러 하나님의 말씀을 유대인의 여러 회당에서 전할새
요한을 수행원(수종자)으로 두었더라”
(살라미 - 바보 - 앗달리아 - 버가)
/ 이 만남 이전에 이미 바울과 마가는 서로 알고 있는 사이
! 글라우디오 때의 예루살렘 흉년 때에 수리아 안디옥교회에 있던 바울과 바나바가
예루살렘에 부조를 하고 돌아가는 길에 마가를 데리고 수리아 안디옥으로 갔다.
(마가는 이 안디옥에서 1차 전도 여행 중에 바보로 먼저 가 있은 것 같다...)
- 마가 요한?
/ 마가는 헬라식, 요한은 히브리식 이름의 혼합
/ 어머니 마리아(행12자의 기도처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 바나바의 생질.
/ 예수님을 따라 다녔지만 12 제자에는 들지 못함.(막 14:51의 베홑이불을 던지고..)
/ 버가에서 돌아가 버리므로 바울에게 신뢰를 잃었지만 약 10년 후에는 바울과 함께 감옥에도 갇힘.
“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딤후 4:11)
“나와 함께 갇힌 아리스다고와 바나바의 생질 마가와
(이 마가에 대하여 너희가 명을 받았으매 그가 이르거든 영접하라)”(골 4:10)
“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가 문안하느니라”(몬 1:24)
/ 이스라엘 역사가 유세비유스는 베드로의 통역자였다고 함(유세비우스 역사 3권)
/ 사도 바울 순교 후 마가는 알렉산드리아에 와서 복음을 전했다.
(이집트 콥틱교의 시작, 68년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말에 끌려가다 절명)
(알렉산드리아 마가교회 유해가 지금도 있음)
○왜 돌아 갔는가?
○복음의 영향?
- 바울에게 복음의 일꾼으로서 신뢰성을 잃게 되었다.
- 2차 전도 여행의 시작에 바나바와 다툼의 계기가 되었다.(행15:37~38)
/ 바울은 실라와 함께 수리아 안디옥 내륙 ~ 길리기아
/ 바나바는 마가와 함께 구브로로......
'성경의 지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지명(58):길리기아 다소 (0) | 2025.09.29 |
---|---|
성경지명(57):구브로의 살라미와 바보 (0) | 2025.09.19 |
성경지명(56):수리아 안디옥과 실루기아 (0) | 2025.09.12 |
성경지명(55):사도 시대의 광범위 지역 지명들 (0) | 2025.09.05 |
성경지명(54):악메다/ 수산/ 페르세폴리스 (4)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