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이병석 목사의 이사야서 강해

 

                         이사야(14-2):앗수르의 멸망과 블레셋의 멸망 예고

                                                                                                                                   이사야 14:24~32

1.앗수르를 나의 땅에서 파하며 나의 산에서 그것을 짓밟으리니

  ➀하나님은 하나님이 생각한 것, 경영한 것은 반드시 이루신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맹세하여 이르시되

                   내가 생각한 것이 반드시 되며 내가 경영한 것을 반드시 이루리라“(사 14:24)

    ○하나님이 하신 말씀에 오류가 없다.

        "천지는 없어질지언정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 24:35)

        “하나님은 인생이 아니시니 식언치 않으시고 인자가 아니시니 후회가 없으시도다

                     어찌 그 말씀하신 바를 행치 않으시며 하신 말씀을 실행치 않으시랴”(민 23:19)(개역)

    ○이 말을 먼저 한다는 것은 앗수르의 심판이 그만큼 확실하다는 것.

  ➁앗수르의 멸망은 말씀하시지 않아도 이미 묵시적으로도 알 수 있다.

    ○아직 신 바벨론이 등장하지도 않았는데 세상의 몽둥이 바벨론의 멸망을 이미 말씀하셨다.

       - 세상의 몽둥이 바벨론의 등장은 곧 앗수르의 멸망을 의미하고 있다...

               (바벨론의 멸망은 또 다른 제국의 등장을 의미한다....)

  ➂현 앗수르(히스기야 왕과 이사야 선지자 당시)

    ○디글랏빌레셋Ⅲ(불;745~727)-살만에셀Ⅳ(727~722) - 사르곤Ⅱ(721~705) -

                                    산헤립(705~681) - 에살앗돈(681~669) - 아수르파니팔(오스납발;669~627)

    ○성경상의 앗수르?

        - 셈의 아들 앗수르를 조상(창10:22)으로 하는 앗수르의 도시들이

                                         함의 손자 니므롯의 영향 아래 존재(Bc 1350 년경;발리트 1세)

            -----

        -디글랏빌레셋Ⅲ세(745~727) ⇨ 성경에서는 「불」이라고도 한다.(대상 5:26); 앗수르 최강국

           / 아수르니라리Ⅴ세에게 반란으로 정권.

           / 르우벤, 갓 므나셋 반 지파를 할라와 하볼과 하라와 고산 강으로 포로(대상5:26)

           / 아람왕 르신, 북이스라엘왕 베가의 침범 때 「아하스」의 도움 요청으로 다메섹을 쳐 줌.

                (성전과 왕궁 곳간의 금들을 주고... 왕하 16:7 ;

                         다메섹에 알현하러 갔던 「아하스」 - 다메섹 제단 -제사장 「우리야」 -왕 오기전에..

      -살만에셀Ⅳ(727~722)

           / 북 호세아 왕이 조공을 바치다가 배반하고 애굽왕 사바콘(「소」)를 의지하다 감금당함(왕하17:3)

           / 북이스라엘을 고산 강가의 할라와 하볼 메데 사람의 여러 고을로 이주.(왕하17:6),

           / 사마리아를 포위하고 있던 중 원인 모를 죽음을 당하고 사르곤 Ⅱ세가 왕이 됨

     -사르곤Ⅱ(721~705)

           / 살만에셀의 동생, 북이스라엘 멸망 시킴 721, 이스라엘 이주정책 시작.

           / 바벨론 왕 부로닥발라단을 추방.

                  1843년 이라크 코르사바르에서 「사르곤 비문」발견(사20:1, 왕하17:23~24 확인)

     -산헤립(705~681)

          / 히스기야 때 예루살렘 침공 실패 185,000명의 죽음.(왕하19장, 대하 32장, 사37장)

          / 아들들에 의해 살해당함(아드람멜렉, 사fp셀)

             ※1830년 이라크 니느웨(니네베)에서 「테일러 프리즘」 발견

                                     (왕하18:13~19:37, 대하32:1~2, 사36:1~37:8 확인)

     -에살앗돈(681~669)

          / 아버지 산헤립을 반역한 두 형제 아드람멜렉, 사레셀을 몰아내고 왕권 획득(사37:38)

          / 이집트까지 정복하여 최대의 영토 확장. 669년 12월 이집트 원정 도중 갑자기 하란에서 사망.

          / 사마리아 지역에 이방족속들 강제 이주. (왕하17:24) (스4:2)

    - 아수르파니팔(오스납발;669~627)

          / 에살앗돈이 이집트 원정 중 갑자기 죽자 할머니의 도움으로 왕권 획득.

          / 父 에살앗돈의 왕비와 적자가 죽자(672년)

                       오스납발을 아시리아 왕으로, 이복형제 샴슈 슈우 우킨을 바벨론 왕으로 임명하였다.

          / 앗수르 최고의 전성기 후에 두 아들 에틸 일라니 신슘 니쉬르에게 공평하게 권력을 주어

                                                                                    공동통치를 하게했으나 신슘 니쉬르가 찬탈...

       -에틸 일라니(630~628) : 신슘 니쉬르에게 왕위 찬탈 당함.

       -신슘 니쉬르(627) : 오스납발의 아들 신샤르 이쉬쿤에게 찬탈당함

       -신샤르 이쉬쿤(627~612) : 바벨론 나보폴라살에 의해 수도 니느웨 함락 당함(나훔 2장)

       -아쉬르아발리트Ⅱ세(612~605) : 느부갓네살에 의해 완전 멸망 ⇨ 앗수르파니팔 이후 22년만

  ➃앗수르 심판

    ○내가 앗수르를 나의 땅에서 파하며 나의 산에서 그것을 짓밟으리니

       - 현실적인 사건으로는 산헤립의 군사 185,000 전멸 사건이다.(Bc 701년?)

           / 하나님은 예루살렘 입구에서 이들을 파하고 짓밟아 버렸다.(한 명도 일어나지 못하게...)

            Vs 그들은 예루살렘을 파하고 짓밟으려 왔으나 하나님께 파하여지고 짓밟혀졌다...

            Vs 이것으로 이스라엘의 멍에가 떠나가 어깨에서 벗어지게 되었다.

                 이 사건 이후로 사실상 예루살렘에 대한 앗수르의 침범은 없어진다.

       - 당시 현실적인 예언이기도 하지만 역사적 예언이기도 한다.(26, 27장)

          / 이것이 온 세계를 향하여 정하신 경영, 열방을 향하여 편 손......

2.블레셋에 대한 예언

  ➀언제? - 「아하스」왕이 죽던 해(720?, 혹은 716년?)

    ○히스기야는 729년부터 아하스의 섭정으로 있었다.- 이로부터 9년 혹은 13년 후

               (왜 아하스가 살아 있으면서 히스기야에게 정권을 이양했는지는 알 수 없다.)

        - 히스기야가 단독으로 왕으로 있게 되는 때에 예언.

        - 「블레셋 온 땅이여 너를 치던 막대기가 부러졌다고 기뻐하지 말라~」(29절)

               ⇨ 블렛셋은 그들을 괴롭히던 디글랏빌레셀Ⅲ세의 죽음(727년)으로 크게 기뻐하였다.

        - 이 틈에 블레셋은 「웃시야」 왕 때 빼앗겼던 그들의 여러 성읍을 「아하스」 때 빼앗았다.

             / 이 때는 아하스의 타락으로 하나님이 버려 둔 상태로 「에돔, 블레셋의 침범」이 있었다.

                 "블레셋 사람들도 유다의 평지와 남방 성읍들을 침노하여 벧세메스와 아얄론과

                        그데롯과 소고 및 그 주변 마을들과 딤나 및 그 주변 마을들과 김소 및

                                   그 주변 마을들을 점령하고 거기에 살았으니“(대하 28:18)

    ○이렇게 鼓舞 되어 있던 블레셋에게 말씀한다.

            「막대기가 부러졌다고 기뻐하지 말라 뱀의 뿌리에서는 독사가 나겠고 ~」

       - 디글랏빌레셀Ⅲ세 후에 줄줄이 독사, 불뱀이 나와서 너희를 멸절 시킬 것이다...

       - 이 예언 후 1년이 채 못 되어 사르곤2세 가드 점령(715년)

              산헤립에 의해 아스글론, 에그론, 가사, 아스돗 점령, 604년 느부갓네살에 의해 완전 멸망.

              / 「내가 네 뿌리를 기근을 죽일 것이요, 네게 남은 자는 살육을 당하리라」

              / 「블레셋이여 다 소멸되리로다」

    ○그러나 시온은?(지금은 위기, 자기들 보다 먼저 망할 것 같은 곳....)

           「여호와께서 시온을 세우셨으니 그의 백성의 곤고한 자들이 그 안에서 피난하리라」(32절)

반응형
728x90
728x90

부산성동교회 이병석 목사의 이사야서 강해

 

                                      이사야(14-1):포로 귀환자들이 부르는 바벨론 멸망가

                                                                                                                              이사야 14:1~23

    ※13장에서의 바벨론 멸망의 결과? - 완전한 멸망.

         - 아라비아 사람도(장사), 목자들도 없게 되는 땅(풀이 나지 않아서....)

         - 오직 들짐승들만 있게 될 곳.

1.이스라엘을 다시 택하여 그들의 땅에 두시리니

  ➀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긍휼로부터 시작된다.

          「여호와께서 야곱을 긍휼히 여기시며」 (1절)

    ○포로로 잡혀 갈 때는 하나님의 진노의 대상자들이었다.

             Vs 그러나 이제는 하나님의 긍휼의 대상이 된다.

       - 12장의 「감사 찬송」에서?

             「주께서 전에는 내게 노하셨사오나 이제는 주의 진노가 돌아섰고

                             또 주께서 나를 안위하시오니 내가 주께 감사하겠나이다 할 것이니라」

         / 1장 : 예배의 타락, / 2장 : 우상숭배의 타락 / 3장 : 언어, 행위, 걸음, 눈의 타락

           4장 : 타락된 포도원의 노래(들포도), / 5장 : 「화 있을진저」 x 3번

                ⇨ 진노(화 있을진저)의 대상이 되는 것을 자초한 백성들..⇨ 바벨론에게 팔아버림(13장)

         / 바벨론의 과도함.(탈취, 노략, 짓밟게 ⇨ 파괴, 멸절, 자기자랑과 교만; 10장)

      - 북이스라엘은(Bc 721년 ⇨ Bc 536년), 남유다는(Bc 606년, 586년 ⇨ 536년) 만에...

         / 심판받을 자들은 포로에서 심판을 받고 그 후손들이 「그루터기」가 되어 돌아온다....

    ○「이스라엘을 다시 택하여 그들의 땅에 두리니」(古土에 두시리니)

      - 하나님의 은혜가 「다시 택하여」가 된다.

             (다시 부르심, 다시 말씀하심, 다시 기회를 주심, 다시 찾으심)

    ○「나그네 된 자가 야곱 족속과 연합하여 그들에게 예속 될 것이며」 - 「그들을 데리고 ~ 」

      -바벨론에 함께 포로되어 있던 이방의 백성들이 이스라엘과 함께 돌아올 것이다.

        / 출애굽때에 수많은 잡족들이 함께 따라 나왔었다...

           “수많은 잡족과 양과 소와 심히 많은 가축이 그들과 함께 하였으며” (출 12:38)

            (이들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민11장; 「섞여 사는 다른 인종들이 탐욕을 품으매」

              이스라엘이 동참 「만나 외에는 보이는 것이 아무것도 없도다」-메추라기; 기브롯 핫다아와)

      -같이 온 이 이방인 나그네들은 「야곱 족속과 연합」이 되지만 「예속」 될 것이다.

           “이스라엘 족속이 여호와의 땅에서 그들을 얻어 노비로 삼겠고

                   전에 자기를 사로잡던 자들을 사로잡고 자기를 압제하던 자들을 주관하리라”(2)

        / 「야곱 족속과 연합」 「예속」의 선한 관계?

            아브라함과 그의 종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 / 이스라엘과 기브온 /

            다윗과 이방인 장군들 (가드 사람 잇대와 가드 사람 600명(삼하 15:19)

                                              (암몬 사람 셀렉(삼하 23:37), 마아가 사람 엘리벨렛(삼하23:34)

                                                헷 사람 우리야(삼하 23:39))

                              ⇨ 이들은 완벽한 연합과 예속이었다.....

         ☞ 성도는 주님과(교회와) 완벽한 연합과 예속을 이루는 관계여야 한다....

                「연합(?)」은 되는데 「예속」을 이루지 못하는 성도들?.....

            성도는 주님과 연합을 이루지만 「예속자」가 되어야 한다.(포도나무와 가지, 몸과 지체)

               완벽한 연합을 이룰 때 「예속」은 예속으로 느껴지지 않고 한 몸으로 여겨진다..

    ○「여호와의 땅」에서

      - 돌아온 백성들은 자기들의 땅이 아니라 「여호와의 땅」이라는 사실을 늘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내가 살고 있지만 나의 땅이 아니고 「여호와의 땅」이다.....

                    (내 것이 내 것이지만 ⇨ 내 것이 아니고 여호와의 것이다.... )

2.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벨론의 멸망에 대해서 부르는 노래

  ➀이스라엘 백성들이 이 노래를 부르는 때?

         “여호와께서 너를 슬픔과 곤고와 및 네가 수고하는 고역에서 놓으시고 안식을 주시는 날에”

    ○출애굽한 백성들이 홍해를 건너고 바로의 멸망과 이스라엘의 구원을 노래했다.(출15장)

    ○드보라와 바락이 하솔왕 야빈과 장군 시스라를 이기고 구원의 노래를 불렀다.(삿 5장)

    ○궁극적으로 천국에 들어간 최종의 구원의 성도들이 이 노래를 부를 것이다.(계 5:9~13, 7:10~12)

       - 궁극적 바벨론 패망의 노래는 계 18장

             “무너졌도다 무너졌도다 큰 성 바벨론이요 귀신의 처소와 각종 더러운 영이

                                  모이는 곳과 각종 더럽고 가증한 새들이 모이는 곳이 되었도다”(계 18:2)

  ➁부르는 노래(4~)

    ○「압제하던 자가 어찌 그리 그쳤으며 강포한 성이 어찌 그리 폐하였는고」(4)

        Vs 예루살렘이 무너졌을 때 사람들은?

              「여러 민족들이 이 성읍으로 지나가며 서로 말하기를

                                                     여호와가 이 큰 성읍에 이같이 행함은 어찌 됨인고?」

              「그들이 대답하기는 이는 자기 하나님 여호와의 언약을 버리고

                                    다른 신들에게 절하고 그를 섬긴 까닭이니 하셨다 할지니라」(렘 22:8~9)

                      (신29장/ 왕상 9:8~9 솔로몬 성전 왕궁 후)

     - 멸망의 이유? (10장)

        / 높의 눈의 자랑/ 말의 자랑/ 내 손으로 열국의 재물을 얻었다 / 파괴하며 멸절,

  ○「여호와께서 악인의 몽둥이와 통치자의 규를 꺾으셨도다」(5절)

     -바벨론 하나님의 이스라엘에 향한 진노의 막대기였다.-그러나 바벨론은 몽둥이가 되어 버렸다.

             (“도끼가 어찌 찍는 자에게 스스로 자랑하겠으며 톱이 어찌 켜는 자에게

                        스스로 큰 체하겠느냐 이는 막대기가 자기를 드는 자를 움직이려 하며

                                 몽둥이가 나무 아닌 사람을 들려 함과 같음이로다”(사 10:15) )

        / 분내어 여러 민족을 치고, 노략하고, 억압하였다.

    ○바벨론의 멸망으로 온 땅이 조용하고 평온하니 무리가 소리 높여 노래하는도다.(7절)

    ○스올에서 역대의 악한 왕들과 제국들이 너를 맞이 할 것이다.(먼저 지옥에 간 자들)(9~)

             「너도 우리 같이 연약하게 되었느냐? 너도 우리 같이 되었느냐 하리로다」(10절)

      - 「스올이 너로 말미암아 소동하여 네가 오는 것을 영접하되 ~ 」

         / 바벨론도 여기(지옥)에 오나? 바벨론도 죽나? 바벨론도 망하나? .......

    ○「아침의 아들 계명성」의 추락.(金星)

      -의미:새벽에 동쪽에 잠시 났다가 사라지는 것의 비유

        / 순간적으로 가장 반짝이고 빛나지만 해가 곧장 여명으로 사라지는 별.

      -「북극 집회의 산에 앉으리라」는 교만...

        / 의미적으로 신들의 집회의 산을 의미 - (인도:히말라야, 그리스:올림푸스....)

    ○너를 보는 이가 주목하여 너를 자세히 살펴보며 말하기를」(16절)

      - 지켜보고 있는 분이 있다는 것을 언제나 명심해야 한다.....

    ○안장도 되지 못하게 되는 바벨론

        - 「오직 너는 자기 무덤에서 내쫓겼으니~」(19) / 「~ 그들과 함께 안장되지 못하나니~」(20)

                 Vs 바벨론에 멸망을 당한 열방의 왕들은? 「각각 자기 집에서 영광중에 자건마는 ~」

                                                                    (호화로운 묘지? 보호받는 묘지?)

반응형
728x90
728x90

이병석 목사의 이사야서 강해

                                                이사야(13-2):바벨론 멸망의 날

                                                                                                                                                이사야 13:6~22

1.너희는 애곡할지어도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으니

  ➀전능자에게 멸망이 임할 것이다.

    ○여호와의 날 - 하나님이모든 것을 주관하고 관리하는 날(특별히..)

       -모든 날이 「여호와의 날」이지만 사람들은

                                       인식하지 못하고 반복되는 「나의 날」로 가볍게 생각한다.

       -그러나 이 날은 누구나 「사람이 주관」하는 날이 아니고 「하나님이 주관」하는 날 임을 알게 될 것.

    ○이 여호와의 날 바벨론 사람들, 그들과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는 「애곡의 날」이 될 것.

              Vs 그러나 바벨론에 괴롭힘을 당하던 사람들에게는 「찬양, 감격의 날」이 될 것.

       - 하나님은 「벨사살 그의 잔치의 날」을 ⇨ 「하나님의 심판의 날」로 만들었다.

       - 「유월절 밤 여호와의 날」에 애굽은 애곡의 날이었고 이스라엘에게는 감격의 날이었다.

  ➁바벨론 심판의 날 그 때?

    ○「심리적인 고통」 - 모든 손의 힘이 풀리고 각 사람의 마음이 녹을 것이다.(7)

              (※ 여리고 사람들의 두려움; 마음이 녹고, 정신을 잃었다. 수 2:11)

              (하나님은 고레스의 침범 전에 벌써 벽에 쓴 글씨만으로도 「벨사살」에게...)

                        “이에 왕의 즐기던 얼굴 빛이 변하고 그 생각이 번민하여 넓적다리

                                                    마디가 녹는 듯하고 그의 무릎이 서로 부딪친지라” (단 5:6)

              (바벨론이 니느웨성을 점령할 때 앗수르 사람들에게 이런 두려움을 주었다.)

                 “니느웨가 공허하였고 황폐하였도다 주민이 낙담하여 그 무릎이

                                  서로 부딪히며 모든 허리가 아프게 되며 모든 낯이 빛을 잃도다”(나 2:10)

                      - 바벨론이 니느웨에 이런 두려움을 준 73년 뒤에 자기들이 메데 -파사에게...

                                         (Bc 612년 니느웨 멸망 - Bc 539년 바벨론 멸망)

       - 세계를 정복하던 칼과 창을 들고 있던 그 손들!

       - 세계를 정복하고(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승리의 깃발을 꽂던 그 승리의 손들이.......

       - 그들에게 점령당하던 수많은 나라의 백성들이 바벨론의 침범 소식에 마음이 녹았듯이

                                     이제는 그들이 메데-파사의 침범 소식에 손이 풀리고 마음이 녹을 것이다.

           / 바벨론이 앗수르 니느웨를 정복할 때?

              “휙휙 하는 채찍 소리, 윙윙 하는 병거 바퀴 소리, 뛰는 말, 달리는 병거,(나 3:2)

                         충돌하는 기병, 번쩍이는 칼, 번개 같은 창, 죽임 당한 자의 떼,

                             주검의 큰 무더기, 무수한 시체여 사람이 그 시체에 걸려 넘어지니”(나 3:3)

          / 바벨론이 블레셋을 칠 때 블레셋?

             “군마의 발굽 소리와 달리는 병거 바퀴가 진동하는 소리 때문에

                                아버지의 손맥이 풀려서 자기의 자녀를 돌보지 못하리니”(렘 47:3)

    ○「육체적인 고통」

            「괴로움과 슬픔에 사로잡히고 해산이 임박한 여자 같이 고통, 얼굴이 불꽃 같으리로다.」

       - 해산하는 고통 ⇨ 자연 상태에서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최고의 고통.

                (그래도 해산의 고통은 지나고 나면 잊혀지는 고통 - 다시 출산. )

                      Vs 「출산의 아픔」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가진 여성은 없음....

                                    그러나 다른 어떤 아픔으로 인한 트라우마는 엄청 많음...)

                                 ⇨그러나 고통은 영원한 트라우마로 남을 것.

       -「얼굴이 불 꽃」 같을 것? ⇨ 심판의 두려움으로 인한 붉어져 있는 상태

  ➂「여호와의 날」 ⇨ 하나님의 분노의 날

    ○「잔혹히 분냄」(9), 「맹렬히 노하는 날」(9), 「분하여 맹렬히 노하는 날」(13)

    ○왜 하나님께서 바벨론에 이렇게 분내시고 노하시는가? (사 47장, 렘 50장)

       - 「그가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 여호와를 향하여 교만하였음이라」(렘50:29)

              Vs 하나님이 그를 높여 「세계의 망치」로 들어 쓰신다는 것을 모르고....

                  “온 세계의 망치가 어찌 그리 꺾여 부서졌는고

                             바벨론이 어찌 그리 나라들 가운데에 황무지가 되었는고”(렘 50:23)

       - 「전에 내가 내 백성에게 노하여 내 기업을 욕되게 하여 그들을 네 손에 넘겨 주었거늘

             네가 그들을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고 늙은이에게 네 멍에를 심히 무겁게 메우며」(사47:6)

             Vs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넘겨 주었다고 하면서..?

                    「그들이 여호와 곧 의로운 처소시며 그의 조상들의 소망이신

                                   여호와께 범죄하였음이즉 우리는 무죄하다 하였느니라」(렘 50:7)

             Vs 하나님이 바벨론에게 주신 한계?

                    「너희는 그 성벽에 올라가 무너뜨리되 다 무너뜨리지 말고

                                                   그 가지만 꺾어 버리라 여호와의 것이 아님이니라」(렘 5:10)

       - 하나님보다도 높아지려고 한 교만

             「가장 높은 구름에 올라가 지극히 높은 이와 같아지리라 하는도다」(사 14:14) -계명성

             「사치하고 평안히 지내며 마음에 이르기를 나뿐이라 나 외에 다른이가 없도다」(사47:8)

       - 이스라엘의 한탄의 기도

             「내가 받은 폭행과 내 육체에 대한 학대가 바벨론에 돌아가기를 원한다고

                     시온 주민이 말할 것이요 내 피 흘린 죄가 갈대아 주민에게로 돌아가기를

                                  원한다고 예루살렘이 말하리라 」(렘 51:35)

       - 바벨론에 대한 하나님의 보복.

             「바벨론이 이스라엘을 죽여 엎드러뜨림 같이

                                     온 세상이 바벨론에서 죽임을 당하여 엎드러지리라」(렘 51:49)

    ○바벨론에 보복하시는 하나님의 모습?

       - 누구를 통하여서? - 메데 파사를 통하여서

               「보라 은을 돌아보지 아니하며 금을 기뻐하지 아니하는

                                            메대 사람을 내가 충동하여 그들을 치게 하리니」(17)

           / 전쟁 중에 금은을 노획할 것이라고, 얻을 것이라고 봐주고, 남겨놓는 건물이 없을 것.

                    「여호와께서 메대 왕들의 마음을 부추키사 바벨론을 멸하기로 뜻하셨나니」(렘 51:11)

                                           (메데-파사 「고레스」 Bc 539년)

       -「만나는 자마다 창에 찔리겠고 잡히는 자마다 칼에 엎드러지겠고 」(15)

       -「어린들은 그들의 목전에서 메어침을 당하고, 집은 노략을 당하고 아내는 욕을 당하리라」

       -「태의 열매를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며 아이를 애석하게 보지 않을 것」

       -「하나님께 멸망당한 소돔과 고모라와 같이 되리니」(19)

            / 완전한 멸망, 재생이 안 되는 멸망.

       -「아라비아 사람도 거기에 장막을 치지 않을 것, 목자들도 그 곳에 양떼를 쉬게 하지 않을 것」

            / 장사를 할 수 있으면 어디로든지 가는 사람들이지만 이제 바벨론에는 갈 필요가 없는.

            / 심지어 풀도 나지 않아서 양떼도 가지 않게 될 곳....

            / 들짐승들만 있게 될 곳.....

반응형
728x90
728x90

이병석 목사의 이사야서 강해

 

                                      이사야(13-1):바벨론에 대한 심판의 경고

                                                                                                                                                이사야 13:1~5

  ※ 바벨론?

    ➀고대 바벨로니아(Bc 1895~1595년까지 약 300년의 기간)

       ○6대 함무라비왕 때 메소포타미아 지역 패권.

       ○14대 「샘수 다이타나」가

               Bc 1595년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1세」에 의해 고대 바벨론이 멸망되고 카사이트 왕조가 시작.

    ➁중기 바벨로니아(카사이트 왕조;1595~1019)

       ○무르실리Ⅰ세에 의해 세워진 카사이트 왕조는 바빌론 이름을 「카르 두니아쉬」(Kar-Duniash)로

                                     바꾸고 존재하나 신바벨론이 형성되기까지 패권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로 간다.

                  Vs 상대적으로 앗수르의 부흥(이 때가 앗수르의 최고의 부흥기)

                  디글랏 빌레셋Ⅲ - 살만에셀 -사르곤Ⅱ -산헤립 -에살앗돈 -오스납발(아슈르파니팔)

          / 에틸 일라니(630~628) -신슘 니쉬르(627) -신샤르 이쉬쿤(627~612)-아슈르파니팔Ⅱ(612~605)

    ➂신 바벨로니아(626~539년까지 갈데아인(칼데아)이 다스린 바벨론)

      ○Bc 627년 앗수르의 마지막 왕 아슈르바니팔 이 죽고 Bc 626년 「나보폴라살」이

                                          반란을 일으키고 Bc 612년 니느웨를 정복하고 신바벨로니아를 세운다.

                        (612년 니느웨 함락 / 610~605년 앗수로 멸망)

      ○왕조; 나보폴라살- 느부갓네살2세- 에월므로닥- 네리 그릿살- 나바시마르둑- 나보니두스- 벨사살

              Vs 나보니두스 6년(Bc 549년)에 「고레스」는 메데 아스티아게스를 정벌하고 페르시아 형성

                                 그 3년 뒤인 539년 바벨론 점령 = 페르시아 제국

1.아모스의 아들 이사야가 바벨론에 대하여 받은 경고라.

  ➀이사야가 바벨론에 대한 경고를 할 때?

    ○중기 바벨론이라 할 수 있는 「캇사이트 왕조」의 「브로닥발라단」 언저리의 시기.

              (앗수르의 최대의 팽창기; 디글랏 빌레셋Ⅲ - 살만에셀 -사르곤Ⅱ )

      - 13장 부터의 멸망 예고?

             바벨론(13~14장) -앗수르(14장)- 블레셋(14장)-모압(15~16장) -에브라임, 다메섹(17장)

                    구스(18장) -애굽(19장)- 다시 바벨론(21장) - 두로, 시돈(23장)

      - 이 예고 중에서 아직 앗수르의 한 속국에 불과한 바벨론의 심판에 대해서 제일 먼저 예고..

      - 바벨론 심판에 대한 예언은 이사야로부터 약 100~150년 후인 Bc 539년에 성취된다.

    ○아직 약소국에 불과하지만 바벨론의 앞으로 대 제국이 될 것임,

                                                                             유다를 멸망시킬 나라임을 미리 예고하는 것이다.

      - 히스기야가 지금 이 이사야의 바벨론에 대한 예고를 알고 있다고 하면(의미를 안다고 하면)

                  38장의 발병, 39장의 「브로닥발라단」 사절단에서의 반응이 달랐을 수도......

      - 하나님이 역사를 주관하심을 보여준다.,,

  ➁바벨론의 이스라엘 심판의 도구로 사용하심.

    ○앗수르는 북 이스라엘의 도구로 사용하셨다.

      -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가 남 유다도 멸망시키려 하였으나 이것은 막으신다.

                (앗수르는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Vs 그러나 하나님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히스기야의 믿음, 기도를 보셨다...

          / 남 유다는 북이스라엘이 멸망한지 135년 뒤에 멸망한다. (721년 ⇨ 586 년)

    ○하나님은 남 유다의 심판으로는 바벨론을 사용하실 것이다..

      -바벨론은 바벨론대로, 이스라엘은 이스라엘대로 이 예언의 말씀을 기억 해놓고 있어야......

          / 바벨론은 그들이 잡아간 다니엘 등을 통하여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보며!

               이사야가 예언 한 대로 자기들이 남유다를 정복하고 세계를 재패하게 되는 것을 보며!

                   ⇨ 겸손 모습으로, 하나님께 대한 두려움과 경외심으로......

          / 이스라엘은 위기의 때에 히스기야가 한 모습으로..... (믿음, 기도....)

  ➂바벨론의 멸망

    ○그들을 존귀한 자의 문에 들어가게 하라.

             「너희는 민둥산 위에 기치를 세우고 소리를 높여 그들을 부르며

                                                손을 흔들어 그들을 존귀한 자의 문에 들어가게 하라」(2절)

      -민둥산 = 자산 =벌거 벗은산

         / 바벨론은 이미 모든 것이 드러난 민둥산이 되어 버렸다.(숨을 곳이 없는 완전히 드러난..)

           ! 그들의 타락, 그들의 죄악.......

           ! 「벨사살」 임금에 대한 하나님이 말씀에서 이미 -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 「그들을?」 - 메대 사람들 ⇨ 고레스의 메데+파사군

                 17절 「보라 은을 돌아보지 아니하며 금을 기뻐하지 아니하는

                                                               메대 사람을 내가 충동하여 그들을 치게 하리니」

         / 하나님은 파사의 「고레스」를 급 상승시켜 바벨론을 심판하는 도구로 사용하신다.

           ! 하나님은 「고레스」를 ⇨ 「내 목자, 내 기쁨을 성취하리라」(44:28)

                  「여호와의 기름부음을 받은 고레스」(45:1)

     - 「존귀한 자의 문에 들어가라」 ⇨ 바벨론 왕의 문에 들어가라...

         / 바벨론 왕은 신적인 존재.

            ! 고대에서의 멸망은 곧 신적인 존재의 자리를 빼앗기는 것....

         / 그 누구도 들어갈 수 없었던 「존귀한 자」의 문을 「고레스」가 들어갈 것이다.

            (해석 조심! 「존귀한 자의 문으로 들어가라」 하니 하나님의 문, 신앙의 문? 아님)

            (당시 세계, 바벨론의 입장에서 존귀한 자의 문인 바벨론의 문 - 심판하여 들어가는 문..)

    ○바벨론의 「존귀한 자의 문」을 치는 사람들? (3절)

      - 「내가 거룩하게 구별하여 명령한 자들」

         / 하나님은 고레스에 대하여?

            「그 앞에 열국을 항복하게 하며 내가 왕들의 허리를 풀어

                                     그 앞에 문들을 열고 성문들이 닫히지 못하게 하리라」(45:1)

             「내가 너보다 앞서 가서 험산 곳을 평탄하게 하며 놋문을쳐서 부부며 쇠빗장을 꺾고」

             「너는 나를 알지 못하였을지라도 네게 칭호를 주었노라 」(45:4)

             「너는 나를 알지 못하였을지라도 나는 네 띠를 동일 것이요」(45:5)

      - 「나의 위엄을 기뻐하는 용사들」

      - 「나의 노여움을 전하여 들은 자들」 - 하나님의 노여움을 풀어 줄 자들...

          / 이들은 하나님의 노여움을 풀어줄 진노의 병기로 모집되었다.

                        Vs 바벨론은 하나님의 도구였으면서도 하나님을 노엽게 하는 죄악....

   ○바벨론을 치는 페르시아 군사 - 「만군의 여호와께서 싸움을 위하여 군대를 검열하심이로다」

      - 현실적으로 군의 검열은 「고레스」가 하겠지만..... 하나님이 검열하신다.

         / 하나님이 검열 하신다는 것은? - 하나님의 군대다. (하나님의 뜻, 명령 아래 있는...)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으니 전능자에게서 멸망이 임할 것임이로다」(6)

      - 「여호와의 날」 ⇨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관하고 관리하는 날!

         / 이 날! 「벨사살」은 자기가 잔치를 마련하고, 주관하고, 즐거움을 나누는 날로.....

              Vs 하나님은 하나님이 이 전쟁을 준비하고, 주관하고, 함께하고, 심판의 분노로 즐거움을...

         / 그 때 그들의 잔칫날이 애곡의 날이 될 것이고, 멸망의 날이 될 것이다.

      -바벨론의 멸망의 날이 ⇨ 이스라엘에게는 구원의 날이 된다.

      - 「여호와의 날」은 심판 받을 자와 구원 받을 자의 구별이 확실하게 있는 날!

             “그 날에 여호와의 싹이 아름답고 영화로울 것이요 그 땅의 소산은

                     이스라엘의 피난한 자를 위하여 영화롭고 아름다울 것이며”(사 4:2)

             “슬프다 그 날이여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나니

                                               곧 멸망 같이 전능자에게로부터 이르리로다”(욜 1:15)

                    ☞ 유월절이 「여호와의 밤」 「여호와의 날」

                         십자가에 못 박힌 3일의 「안식 후 첫 날」이 「여호와의 날」 「주의 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