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석 목사의 속건제 강해
구약의 제사(6):속건제(贖愆祭)
레위기 5:1~6(참조 7장)
현 성경은 5장의 것을 「속죄제」로 말하고 있으나
옛 성경, 다른 성경은 「속건제」로 말함
Ⅰ.속건제란 무엇인가?
1.속건제:贖愆祭 「아샴」(אשׁם)=과오,
Tresspass Offering, guilt offering 「배상제」의 의미
2.속건제가 구약의 5대 제사에 들어가지만
속건제는 속죄제의 한 형식으로 2급(?)의 속죄제다
3.죄? ○여호와의 성물(聖物)에 그릇 범과하거나(레 5:15-16;삼상 6:3)
○여호와의 금령 중 부지중에 범과하거나(레 5:17-19)
○사람에게 고의로 지은 죄(레 6:2-5)를
속함 받기 위하여 예물을 드리는 제사.
사회적인 죄, 도덕적인 죄를 용서 받기 위해서 드리는 제사
Ⅱ.속죄제와 속건제의 차이
속죄제: 하나님께 범죄 한 자, 율법을 범한 죄를 위한 제사, 배상할 수 없는 죄
속건제: 하나님의 제물에 대한 그릇된 범죄, 인간에 대한 범죄, 도덕적인 죄,
배상 할 수 있는 죄
Ⅲ.실제적인 속건제의 죄들
1.하나님의 물건에 관계되는 죄(레5;14-19)
①여호와께 바칠 물건을 도적함의 죄이다.
②우상에게 제물을 드린 죄이다(대하28:22, 25, 29:6).
③여호와께 드릴 십일조를 도적한 죄이다(레27:30-33, 말3:8-9).
④제물에 관계되는 죄이다.
2.사람의 제물에 관계되는 죄(레6:1-7)
① 남의 물건을 맡았다가 돌려주지 않고 그 사실을 부인하는 자(2절).
② 전당 잡거나(2절),
③ 강도질(2절, 19:13),
④ 늑봉(강제적으로 탈취하는 죄)(2절, 19;13),
⑤ 유실물을 얻고도 돌려주지 않는 죄(3절),
⑥ 고용인에게 삯을 주지 않는 죄(레19:3, 말3;5),
⑦ 청지기가 주인의 물건을 팔아먹는 죄,
⑧ 장사꾼이 매매하는 중에 거짓말로서 사람의 돈을 속여 가지는 죄,
⑨ 과부나 고아나 나그네에게 가야 할 재물을 안 주는 죄(말3;4-6)
⑩ 부지중에 죄를 범했을 때 등등이다.
⑪ 나병, 유출병 환자들의 정결 예식(레14:)
⑫ 나실인의 규례를 어겼을 때(민6:12)
이런 범죄를 했을 경우에는
보상, 변상, 성별 그리고 성결케 하는 제사이다.
사람 앞에 대가를 지불하고 하나님 앞에서 용서를 받는 제사이다.
※ 성경속에서의 특별한 속건제
○블레셋 사람들이 법궤를 돌려보낼 때 그들의 속건제를 드렸다.(삼상6)
○성전을 수리 할 때에도 속건제를 드렸다(왕하12)
○이방 여자들과 살다가 이방 여자들을 돌려보낼 때 속건제를 드렸다
(스10:19)
포로에서 돌아온 백성이 이방여인들과 결혼하여 삶
에스겔이 이것을 알고
“기가 막혀 앉았더니“(스9:4)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부끄럽고 낯이 뜨거워서 가히 나의 하나님을
향하여 얼굴을 들지 못하오니 이는 우리 죄악이 많아 정수리에 넘치고
우리 허물이 커서 하늘에 미침이니다”(스9:6)
이 에스라의 눈물의 기도에 동참하는 사람들 생기고
결국 이방여인들을 돌려 보냄
에스라 10:18~44절은 이방인을 돌려보낸 사람들의 이름이 기록
Ⅳ.속건제의 방법
1. 인지하고 자복해야 한다.
"이 중 하나에 허물이 있을 때에는 아무 일에 잘못하였노라 자복하고"(5:5)
우리의 삶에서 죄의 인지와 자복이 중요하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일1:9)
죄는 결코 하나님 앞에서 숨길 수 없다!
죄를 자복하지 않으므로 속건제의 숫자는 하나 더 늘어나게 될 것이다.
2. 보상이 따른다.
3. 속죄를 해야 한다.
Ⅴ.속건제 제물과 방법
속건제 제물과 방법은 속건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말씀하고 있다.
1.제물
①여호와의 성물에 대한 속건제(5:15~)
지정한 가치를 따라 흠 없는 숫양 +기본 보상 +기본 보상의 ⅕
②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를 부지중 범하는 허물(5:17~)
지정한 가치에 따라 흠 없는 숫양
③사람에게(도둑질, 착취, 전당물로 속임, 거짓맹세, 잃은 물건 주운 것 등)
본래 물건 +⅕로 임자에게 돌려주고 +지정한 가치대로 흠 없는 숫양
참고:삭개오는 토색한 것이 있으면 4배로 갚아 주겠다고 했다.
④저주하는 소리를 듣고도 증인이 안 된 때,
부정한 들짐승들의 사체를 만진 경우
부지중 사람의 부정에 닿았을 때, 함부로 말한 것을 깨닫게 되었을 때,
(레5:1~5)
어린 암양 혹은 염소로 속죄
이것이 힘들 때: 산비둘기 두 마리 혹은 집비둘기 새끼 두 마리
이것은 목을 비틀어 끊고 피를 제단 곁이 뿌리고
남은 것은 제단 밑에서 흘림
그리고 남은 한 마리는 번제로 드림
이것도 힘들 때:고운 가루 1/10 에바
(1에바=22리터, 그러므로1/10에바=2리터)
유향이나 기름을 붓지 않은 채(소제, 화목제는 첨가)로 가져 감
제사장은 기념물로 한 움큼을 화제로 드림
나머지는 제사장이 가짐
2.방법(7장)
①번제 희생을 잡는 곳에서 속건제 희생을 잡고
제사장은 그 피를 단 사면에 뿌린다(7:2)
희생 제물은 반드시 잡는 곳에서 잡아야 한다.
제사는 의미만 있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장소, 시간, 의미, 예식 모두가 말씀대로 행해야 한다.
②기름(기름진 꼬리, 내장에 덮인 기름, 콩팥, 간에 덮인 기름, 허리 기름)
모두 화제로 드린다.
③나머지 고기 부분은 제사장이 거룩한 곳에서 먹는다.
그래서 속건제는 번제와, 속죄제와, 화목제의 특성을 조금씩 가지고 있다.
○이제는 죄 짓는데 마음을 헌신(?)하고, 육체를 헌신(?)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만 헌신 하겠습니다.
○피를 뿌린다.(속죄제):죄를 사하여 주옵소서
○제사장이 먹는다(화목제):물론 제주는 먹지 못한다.
그렇지만 화목제의 특성이 포함
④희생 제물의 가족은 제사장이 가진다.(7:8)
'성막과 구약의 5대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의 제사(5):속죄제(贖罪祭) (0) | 2025.03.19 |
---|---|
구약의 5대 제사(4):화목제(和睦祭) (0) | 2025.03.18 |
구약의 5대 제사(3):소제(素祭) (0) | 2025.03.14 |
구약의 5대 제사- 번제(燔祭 (0) | 2025.03.13 |
구약의 5대 제사(1): 서 론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