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이병석 목사의 민수기 강해

 

                                         민수기(27-1):슬로브핫의 딸들의 기업 요청

                                                                                                                                                        민수기 27:1~11

Ⅰ.슬로브핫의 딸들의 요청

  1.스로브핫의 족보

    ➀므낫세 지파: 슬로브핫 - 헤벨 - 길르앗 - 마길 - 므낫세 - 요셉

    ➁5명의 딸 : 말라, 노아, 호글라, 밀가, 디르사

  2.이들의 요구와 당당함!

    ➀요구?

          “어찌하여 아들이 없다고 우리 아버지의 이름이 그의 종족 중에서 삭제되리이까

                             우리 아버지의 형제 중에서 우리에게 기업을 주소서 하매”(4)

      ○은혜의 사모함 / 축복의 사모함.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가장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고전12:31)

         - 야곱의 사모함 Vs 에서, / 십자가 강도의 요구.

    ➁우리에게 기업을 주소서!

      ○이 딸들은 시집을 가 버리면 그만 일 수도 있다.

         - 그러나 이들은 「우리에게 기업을 주소서!」라고 한다.

            / 우리 지파(므낫세)의 기업, 우리 아버지의 기업, 우리의 기업.....

                ! 므낫세 지파이나 므낫세 지파와 상관없이 살아가는 사람들!

                   (교인이나 출석하는 교회와 상관없이 신앙 생활하는 사람들!)

                   (교회 부서원이나 부서와 상관없이 신앙 생활하는 사람들!)

                   (교회의 선교와 전도와는 상관없이 별개로 전도, 선교를 하는 사람들!)

                   ☞ 결국 보면? 교회를 사랑하는 그 사랑이,

                                      부서를 사랑하는 그 사랑이 자기 신앙을 증진 시키는 것을 본다.

               ! 아버지의 아들 딸들이나 아버지의 신앙, 유산과 상관없이 살아가는 자녀들!

                                                결국 이들의 신앙도 허물어짐을 본다!!!!

    ➁요구의 당당함?

              “우리 아버지가 광야에서 죽었으나 여호와를 거슬러 모인

                                고라의 무리에 들지 아니하고 자기 죄로 죽었고 아들이 없나이다”(3)

      ○아버지 슬로브핫이 믿음으로 살았은 것이 딸들의 당당함의 원천이 된다.

         - 자녀, 후손들이 믿음으로 당당할 수 있는 믿음의 유산을 남기는 부모...

             / 또 이것을 믿음으로 당당이 물려받는 후손의 믿음!

                ☞ 이스라엘 전체 역사에서 보면? (비록, 타락하고, 죄악을 저질렀지만..)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믿음이 그 후손들을 하나님께 기도하게 하고 의지하게 한다.

      ○우리가 당당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에 대한 우리의 믿음.

         -사도들이 핍박 앞에서도 담대히 복음을 말함? - 주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성령의 임함.

         -우리가 담대히 주님의 은혜의 보좌 앞에 나아옴은? - 대제사장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함.

                    “그러므로 우리는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 (히 4:16)

    ➂슬로브핫과 그 존재 자체가 영원히 잊혀 질 뻔 했다.

      ○그러나 그의 지혜롭고 용기 있는 당당한 믿음의 딸들에 의해서 그 이름이 남는다.

         - 이들의 믿음!

         - 이들의 은혜와 축복에 대한 거룩한 욕심!(가나안 땅에 대한 분명한 믿음)

      ○이 딸들은 아버지가 광야에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왔는지를 같이 보고 생활했다...

         - 아버지는 출애굽 한 목적을 분명히 알고 광야 길을 소망하면서 걸어오신 아버지다.

             / 단순히 애굽의 억압이 싫어서 출애굽 한 자들은?

                            홍해를 건넘으로 그 목적이 달성 되었다.

               ! 이들은 그 목적은 달성되었으나 갈 곳 없는 자들, 목적지가 없는 자들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나올 때는 나왔는데 다시 돌아가자, 그 때가 더 좋았다고 외치나..

             / 그러나 믿음의 사람들은 애굽의 고역에서 벗어나는 것도 목적이 있지만

                     더 큰 상위의 목적에 소망을 두고 걸어가기에 하루하루의 일에 一喜一悲하지 않는다.

         - 딸들은 아버지에게서 이 모습을 보면서 같이 광야를 걸어왔다.

            / 딸들은 이 아버지가 2차 신앙 계수에 들지 못해 심판 받은 자가 되는 것이 용납되지 않는다...

            / 아버지의 이름, 아버지의 유업을 이어 아버지의 신앙, 믿음을 유지하겠다....

      ○이들은 지금 「영적인 재산」 「영적인 분깃」 「아버지의 이름」을

                                         빼앗기거나 상실시키지 않겠다고 하는 악착같은 믿음을 보이고 있다.

         - 딸들이지만 아버지의 신앙, 아버지의 신앙 유산을 얻겠다. 지키겠다. 유지하겠다....)

            / 「하나님 아버지의 기업」을 팔아먹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성도는 「하나님 아버지의 기업」을 이어가는 자가 되어야 한다.

            / 나봇은 「열조의 유업을 왕에게 주기를 여호와께서 금하신다」고 하며 유산을 지키려 한다.

                     Vs 탕자는 아버지의 것을 자기 육체의 즐거움과 타락으로 탕진한다.

            / 많은 사람들이 「오늘」 「여기」 「지금」 「이것」 이라는 것에 목적을 두고 살고 있다.

               그래서 이것이 충족되면 복된 삶이고, 충족되지 않으면 불행한 삶으로 규정을 한다.

                Vs 그러나 성도는 「오늘」 「여기」 「지금」 「이것」

                                             충족 여부와는 상관없이 가나안 땅을 향해서 걸어간다.

                          ! 때로는 「오늘」 「여기」 「지금」 「이것」이 폭풍우라도 헤치면서....

                          ! 때로는 「오늘」 「여기」 「지금」 「이것」이 진구렁이라도 걸으면서,

                          ! 때로는 「오늘」 「여기」 「지금」 「이것」에 열사를 받으면서....

                          ! 때로는 「오늘」 「여기」 「지금」 「이것」이 눈밭을 헤치는 일이라도...

                                          이 딸들의 아버지 슬로브핫이 이렇게 걸어왔다...

    ➃이들의 지혜?

      ○이들은 가나안 땅을 점령하고 땅을 분배 받는 과정에서가 아닌 요단을 건너기 전부터 요구한다.

         - 미리 말하여 약속을 받아 놓고(민27장) - 법을 만들게 하고(36장) - 분배 받는다(수17장)

         - 이들은 땅을 분배 받을 때 분명하게 말한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사 우리 형제 중에서 우리에게 기업을 주라 하셨다“(수17:4)

                  ☞ 우리는 주님으로부터 미리 약속을 받아 놓은 자이고

                                                          그 받은 약속을 현실에서 분배 받는 성도들이다.

  3.모세가 그 사연을 여호와께 아뢰니라(개역: 그 사연을 품하니라)

    ①모세의 신앙적 신중성

       ○모든 것을 하나님께 묻고, 하나님으로부터 답을 받아야 한다.

    ➁하나님의 응답

          "슬로브핫 딸들의 말이 옳으니 너는 반드시 그들의 아버지의 형제 중에서 그들에게

                             기업을 주어 받게 하되 그들의 아버지의 기업을 그들에게 돌릴지니라"(민 27:7)

      ○슬로브핫 딸들의 말이 옳으니! - 하나님의 뜻에 맞는 요구를 했다.

      ○무작정의 요구, 은혜 사모함이 아니고 하나님의 뜻에 맞는 요구를 하는 믿음과 지혜...

          - 은혜 사모함이라는 美名이 사실은 자기의 욕심 충당이 되는 경우도 많다.

               / 야고보와 요한, 그리고 그의 어머니의 요구? (마 20장 어머니 요구 / 막 10장 본인들 요구)

    이스라엘 자손에게 판결의 규례가 되게 할지니라(11)

         아들 - 딸 - 고인의 형제 - 아버지의 형제 - 친족에게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