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구약기적(22-2):엘리야 선지자와 사르밧 과부

(사르밧 과부의 아들을 살림) 열왕기상 17:17~24

☞ 앞의 기적 간단히 설명

Ⅰ. 이 일 후에 그 집 주모되는 아들이 죽었다.

「그 집 주모되는 여인의 아들?」 개역성경 「그 집 주인 되는 여인의 아들」

⇨ 이 여인은 바로 앞의 그 은혜의 주인공 되는 바로 그 여인이다.

1.지금 이들은 은혜 가운데 있다.

마지막 음식을 먹고 죽을 수 밖에 없던 입장이었는데 그들은 주님의 은혜로 살고 있다.

☞ 이 가정에 먹고 사는 문제는 이제 해결 되었다.

⇨ 그런데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 이것은 우리 모든 인생들, 성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한 문제의 해결 뒤에 미처 생각지 못한 또 다른 문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Ex) ◇시험 합격의 문제 해결 뒤에 등록금의 문제

◇결혼의 문제 뒤에 또 도사리고 있는 자식의 문제, 부부의 문제

◇출애굽 하는 과정을 보자....

바로의 설득의 문제 뒤에 홍해의 문제 ⇨ 홍해의 문제 뒤에 마라의 문제

⇨ 마라의 문제 뒤에 아말렉의 문제 ⇨ 아말렉의 문제 뒤에 험한 길의 문제.......

①그러면 은혜 가운데 계속 있어야 되는데 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가?

○우리는 계속해서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 하면서 살아야 되는 사람들이다.

⇨ 성도는 계속해서 하나님께 기도할 수 밖에 없는 존재이다.

우리는 계속해서 하나님의 은혜로 살고 있다는 것을 이 문제, 문제들을 통하여 알아야 한다.

⇨ 성도는 한 번의 은혜로 사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하나님의 은혜로 산다....

②이렇게 쉽게 죽을 것인데 하나님이 과부와 아들을 살리셨는가?

우리의 하나님은 결코 그런 하나님이 아니다.

??? 어려움 속에 바로의 허락을 받아서 나왔는데 홍해에 빠져 죽게 하려는가?

⇨ 백성들은 그렇게 생각했다.

“애굽에 매장지가 없으므로 당신이 우리를 이끌어 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느뇨?”(출14:11)

☞ 하나님은 그 새로운 어려움을 통하여 하나님의 역사를 나타내시기를 원하신다.

⇨ 오늘의 이 여인에게서도 마찬가지다....

2.내 죄를 생각나게 하는고?(18절)

1.신뢰와 원망이 함께 하는 여인

①신뢰: “여인이 엘리야에게 이르되”(18절)

⇨ 엘리야는 계속 이 여인의 집에서 같이 기거를 하고 있다.(20절 참조)

이 여인은 이 실망의 문제, 좌절의 문제가 직면했을 때 「하나님의 사람」을 찾는다.

☞ 성도는 이 실망의 문제, 좌절의 문제가 있을 때 언제나 주님 앞에 와야 한다.

“누구든지 내게 오는 자는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 우리의 주님은 모든 문제의 해결자이시다.......

②원망:

“당신이 나로 더불어 무슨 상관이 있기로”(18절)

엘리야와 이 여인과 무슨 상관이 있는가? ⇨ 생명의 상관이 있다.

구원의 상관이 있다.

엘리야는 이미 복음의 전달자였으며, 구원자였으며, 또 문제의 해결자가 될 것이다.

☞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은 예수님이 자기들과 상관 없는 자로 알았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과 상관 없는 자가 아니다.

예수님은 우리 모든 인생들과는 분명하게 두 부분으로 연결되어진다.

하나는 구원의 주님으로, 하나는 심판의 주로 연결되어진다.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므로 「심판의 주」의 연결에서 「구원의 주님」으로 연결되어진다.

거라사 광인의 말 (속의 귀신의 말)

“예수를 보고 부르짖으며 그 앞에 엎드리어 큰 소리로 불러 가로되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여 나와 당신과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눅8:28)

가버나움의 귀신들린 사람의 말(귀신의 말)

“아 나사렛 예수여 우리가 당신과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눅4:34)

“베드로가 가로되 내 발을 절대로 씻기지 못하시리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를 씻기지 아니하면 네가 나와 상관이 없느니라”(요13:8)

⇨아무리 3년을 예수님과 함께 하고, 아무리 예수님의 수제자라 할지라도 주님으로부터 씻김 받지 않으면 주님과 상관없는 자이고, 씻김 받으면 구원의 관계가 되는 것이다.

“내 아들을 죽게 하려고 내게 오셨나이까?”

아니다! 하나님은 그와 그 아들을 살리기 위해서 엘리야를 보내셨다.

이 여인과 똑 같은 원망을 광야의 백성들이 했다.

「애굽에서 매장지가 없어서...」

「이 회중으로 주려 죽게 하는도다」(출16:2-3)

아니다! 하나님은 이들을 살리기 위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들이기 위해 인도해 내셨다...

☞ 은혜의 땅으로 가는 과정 중에서의 작은 어려움 때문에 원망과 불신은 금물이다.

2.내 죄를 생각나게 하는고?(18절)

①이 어머니는 자기 아들의 죽음에서 자기의 죄를 생각한다.

○모든 불상사와 어려움이 「죄의 값은 아니지만 그래도 우리는 우리의 죄를 생각해야 한다.

⇨ 비록 당하는 어려움이 「죄의 값」이 아니라고 해도

우리는 주님 앞에 「나의 죄 때문입니다」로 고백할 때 더 큰 은혜를 얻을 수 있다.

「나의 죄 때문입니다」 VS 「내가 하나님께 무슨 잘못이 있다고 나에게????」

②오늘 이 여인은 자기의 무슨 죄를 생각했는지 알 수는 없다.....

Q/T : ㉠여러 날 먹었으나 ~~ 통의 가루가 다하지 아니하고~~~」(16절) 했는데

그것에 대한 감사와 감격이 없었을 수도 있다.

㉢ 하나님의 말씀을 확실히 믿지 못했다?(14절에 주신 말씀)

생각의 이유? 24절에서 말하고 있는 모양을 보아서....

㉣ 엘리야를 하나님의 종으로 믿었지만 확실히 믿지 않는 죄?(24절을 보아서)

. 여인의 아들을 살려 주는 엘리야

1.여호와께 부르짖어 가로되

①엘리야는 하나님께 기도한다.

모든 문제의 해결은 하나님을 찾고 기도하는 데부터 시작된다.

2.하나님의 응답

“여호와께서 엘리야의 소리를 들으시므로 그 아이의 혼이 몸으로 돌아오고 살아난지라”

하나님은 엘리야의 기도의 소리를 들으셨다.

Ⅲ.여인의 고백

1.내가 이제야 당신은 하나님의 사람이요

⇨ 지금까지 믿기는 믿었지만 완전히 믿지 못하였다는 소리가 된다.

2.당신의 입에 있는 여호와의 말씀이 진실한 줄 아노라

⇨ 엘리야가 말한 하나님의 말씀을 믿기는 믿었으나 완전히 믿지 못했다.

???? 며칠 더 먹다가 가루가 떨어지겠지????? 하는 의심???

☞ 그렇다면?

왜? 이 여인의 아들이 죽게 되었는가?

생각: 아들이 심히 위중할 때 기도했을 것인데 그때 낫게 해 주지 않았다????

왜 죽게 되었고, 다시 살리시는가?

⇨⇨ 하나님은 이 사건을 통하여 이 여인이 확실하게 엘리야를 인정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믿게 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뜻이 있었다.

의 떡과 기름의 기적으로 만으로는 이 여인의 믿음은 부족하였다는 증거가 된다......

☞ 성도는 앞의 은혜로만으로도 전적인 믿음을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