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신약의 기적(24):깊은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라

 

누가복음 5:1~11

Ⅰ.어부들은 배에서 나오사 그물을 씻는지라

1.1절과 2절을 자세히 보면 대조되는 모습이 있다.

①옹위하여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무리가 있다. (1절)

②그와는 전혀 상관없이 배에서 그물을 씻고 있는 어부들이 있다.

☞ 세상에는 바로 옆에서 주님이 생명의 말씀을 하시고 계시지만 그것하고는 전혀 상관 없이 그물을 씻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너는 너고, 나는 나다고 생각하고 예수님이 옆에 계신 것을 전혀 개의치 않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는 눈을 들어야 한다.

// 바로 옆에서 주님이, 그것도 생명의 주님이 말씀하고 있는 그것을 볼 수 있는 자들이 되어야 한다.

☞오늘의 어부들은 바로 옆에서 「무리가 옹위하여 듣고 있어도」 자기들과는 무관한 것으 로 생각하고 있었다.

2.그물을 씻고 있었다???

①그물을 씻고 있었다는 것은 정리, 포기, 실패를 의미한다.

특히 오늘 여기에서 그물을 씻고 있었다는 것은 실패의 그물을 씻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 어부들은 밤새 고기 한 마리도 잡지를 못했다.

◇ 이 어부들은 물때를 맞추었을 것이다.

◇ 이 어부들은 장소를 맞추었을 것이다.

◇ 이 어부들은 능숙한 기술이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밤새 한 마리의 고기도 잡지를 못했다.

☞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인간의 기술과 생각과 계획만으로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②이 실패와 좌절의 자리 바로 옆에 주님이 계신다.

우리가 밤새도록 수고한 그 󰡔실패의 종점의 바로 그 자리󰡕에 주님이 계신다.

⇨우리는 이 자리에서 주님을 볼 수가 있어야 한다.

분명히 주님은 그 자리에 계십니다.

◇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 우리를 긍휼히 여기시기 때문입니다.

◇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입니다.

⇨ 하나님은 실패한 그 아담과 하와의 자리에 와 계셨습니다.

③왜 와 계십니까?

우리를 회복하시기 위해서 와 계신다.

빈 그물이었던 것을 그리스도 안에서 가득 채우게 하시기 위해서 와 계신다.

☞주님은 그리스도 밖에서 가득 채워지는 그물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가득 채워지는 충만을 원하고 계십니다......

(그리스도 밖에서 채울려고 하지 말라)

Ⅱ.시몬의 배에 오르시는 주님

1.주님이 시몬의 배에 올랐다.

이것은 시몬에게 복이다.

주님이 「우리의 배」 「나의 배」에 올랐다고 하는 것은 「복(福)」이다.

주님이 우리 가정에 오셨다!

주님이 내 사업처에 오셨다! ⇨이것은 주님의 은혜가 임할 징조이고, 서곡이다.....

☞☞ 우리는 기도해야 한다! 주님! 나의 배에 오르소서!!!!!!

2.무리를 가르치셨다.

①주님은 여기서 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 않으셨다.

②지금 실패해서 그물을 씻고 있는 것 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는 생명의 말씀, 영생의 말씀에 대해서 가르친 것이다.

☞ 이때 우리는 이 말씀을 들을 수 있는 믿음과 인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지금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해서 기분이 나빠 죽겠는데... 뭐 저런 소리를 하나?

지금 그런 설교 들을때가 아니다!!!!

지금 피곤해 죽겠는데 빨리가서 누워 잘란다....

3.말씀을 마치시고

「시몬에게 이르시되 깊은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①앞에서 하신 주님의 말씀을 「아멘」으로 받을 때 이 말씀에도 순종을 할 수 있다.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 이심을 믿을 때 그 분이 하는 모든 말씀에 순종을 할 수 있다.

이것을 믿는 것이 기본이다.!!!

Ex) 부모가 나를 낳아준 친 부모라고 하는 신뢰가 밑 받침 될 때 부모에 대한 순종이 이루어진다.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리이다」

◇세상적인 시각으로 보면? 어부가 목수의 말을 듣고 고기를 잡는다.....

◇그러나 믿음의 시각으로 보면?

⇨ 죄인이 천지를 짓고 주관하시는 창조주의 말씀을 듣는 것이다.

③말씀에 의지하여?

간밤의 실패가 주님이 하신 말씀에 대한 순종을 막지 못한다.

☞ 우리는 때때로 「지금까지 한 마리도 잡지를 못했는데....」가 「주님의 말씀」을 이 겨 버려서 순종을 하지 못한다.

우리는 「말씀에 의지하여」의 신앙을 가져야 한다.

첫 번째 기적에서 예수님의 어머니는 무엇이라고 했는가?

「무슨 말씀을 하시든지 그대로 하라!!!!

우리들이 밤이 맞도록⇨내가 그물을 내리리이다.

간밤의 실패는 베드로와 그의 동료들이다. 그러나 지금 그물을 던지는 자는 베드로 혼자 이다.

⇨이것이 나의 믿음이다.

너도 가자 그래야 내가 간다

너도 하자 그래야 내가 한다가 아니다......

☞ 우리는 때때로 나는 할 맘이 있는데 옆에 사람이 안가고, 안 하니까? 나도 덩달아 하지 않고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신앙과 헌신은 옆의 사람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말씀을 의지」하는 것이다.

Ⅲ.결 과

1.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많이 잡았다.

말씀에 순종할 때의 풍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 주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는 분명히 풍성을 주시는 은혜를 얻게 된다.

2.나는 죄인이로소이다.

베드로는 그 고기잡음에서 자기가 죄인」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의 생각이 잡은 고기에 중점이 아니다.

⇨영 엉뚱하게 이 풍성의 사건을 통하여 「죄인」과 연결되어진 것이다.

①이 말속에는 예수님이 구원자이심을 내포하고 있다.

②이 말속에는 감히 자기가 하나님 앞에 설 수 없는 존재임을 고백하고 있다.

3.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사람 낚는 어부가 되리라」는 것이다.

4.예수를 좇음

베드로와 동료들은 배를 버려두고 예수를 좇았다.

이것이 주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은혜에 대한 결론이다.

☞ 우리는 주신 은혜 그것에 묶여 있어서는 안 된다.

⇨ 그 은혜를 통하여 다시 하나님의 일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 어떤 사람들은 다음에도 또 고기 많이 잡게 해 주세요, 또 다음에도......

반응형
728x90
728x90

성경의 기적(8):바다를 잔잔케 하심

마가복음 4:35~41

 

※ 예수님이 이 바다를 잔잔케 하신 사건은 마8:23~27, 눅 8:22~25에도 같이 나타난다.

Ⅰ.예수님께서 배를 타고 바다(갈릴리)를 건너 가신다.

1.언제 건너가시는가?

「그날 저물때에」(35절)

「그날」은 어떤 날인가?

⇨ 4:1절부터 보면 예수님이 바닷가에서 사람들에게 비유로서 가르치신 날이다.

어떤 비유들을 말씀하셨는가? ◇씨 뿌리는 자의 비유

◇등경위에 두어야 되는 등불 비유

◇추수비유

◇겨자씨 한 알의 비유

예수님은 저녁까지 사람들에게 바닷가에서 이 황금 같은 비유의 말씀을 하시고 피곤하셨다.

「저물때에」

이것은 바다와 배에 대해서 상식에 맞지 않는 말씀을 하시고 계신다.

저물때에는 항해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특히 조명시설이 없던 옛날은 더 그렇다!)

저물면 바다에 있던 배도 다시 육지로 들어 온다. 그런데 주님은 건너가자고 하신다.

☞☞ 그러나 우리는 주님이 가자고 하시면 가는 자가 되어야 한다.

밤이든지, 낮이든지, 바다든지, 육지든지.......

③그러면 왜 주님이 이 밤에 상식에 맞지 않게 바다를 건너가자고 하시는가?

마태복음 8장에서 참고할 것 같으면

「예수께서 무리가 자기를 에워쌈을 보시고 저 편으로 건너 가시기를 명하시니라」(마8:18)

그리고 한 서기관이 「선생이여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좇으리이다」고 했을 때이다.

그러나 주님은 「오직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 죽은 자들로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좇으라」고 하시면서 건너 가자고 하시는 것이다.

☞☞ 즉 예수님 주위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왔으나 진정으로 주님을 따르는 자는 없었다.

그래서 주님은 피하시는 것이다.

⇨⇨ 주를 따르되 「메시야, 구원자, 생명의 주」로서 따른지 않으면 주님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으신다.

Ⅱ.큰 풍랑이 일어 났다.

1.예수님이 타고 계시는데 풍랑이 일어난다?

그렇다!!!

예수님이 타고 계시는데도 불구하고 「큰 풍랑」이 일어 났다」 (작은 풍랑이 아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타고 계시면 절대로 풍랑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우리는 예수님이 함께 하시면 절대로 어려운 일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 그러나 그것은 그렇지 않다.

예수님이 타고 계셔도, 예수님이 함께 계셔도 여전히 큰 풍랑, 일들이 생긴다.

⇨그러나 이런 풍랑이 생기더라도 우리는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주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주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있고, 주님을 대장으로 모시고 있고, 주님을 생명으로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

2.주님은 주무시고 있다.

「큰 풍랑이 일어 났는데도 주무시고 있다」 ⇨ 주님이 아시는가? 모르시는가?

①이것이 제자들에게는 큰 문제이고, 큰 풍랑이지만 주님에게는 큰 문제가 아니다.

Ex)집에 바퀴벌레 한 마리가 나왔다....

온 집은 야단이다. 그러나 남자에겐 아무 문제가 아니다.......

  ②제자들에게는 죽음의 문제로 다가왔지만 주님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다.

⇨ 오히려 이 문제가 더욱 󰡔주님의 주님 되심󰡕을 나타내 보이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 어려운 문제가 생길 때 「믿음의 사람」에게는 믿음의 사람임을 나타내는 계기가 되지만

「불신의 사람」에게는 그 불신의 사람임을 나타내는 계기가 된다.

3.제자들의 모습과 배의 모습?

①아마 어부 출신의 제자들은 열심히 노를 젓고 안간힘을 쓸 것이다.

②어부 출신이 아닌 제자들은 물을 퍼 내고 야단일 것이다.

③더디어 배에는 물이 가득차게 되었다.

⇨ 이제 어부 출신, 뱃 사람들이라도 더 이상 할 수 없는 단계에까지 왔음을 말한다.

아무리 어부 출신이고 갈릴리서 잔뼈가 굵은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더 손을 쓸 수가 없다.

☞☞☞ 이것이 인간의 한계이다.

인간이 아무리 한 부분에 전문가라고 할지라도 그 한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 한계가 오기 전부터 우리는 주님의 기억하고 있어야 하고, 그 한계가 왔을 때 우리는 주님의 이름을 부르는 자가 되어야 한다.

※ 무조건 처음부터 주님에게 맡겨 버리는 것도 좋은 것은 아니다???

성도로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내 할 일 만큼의 분량은 먼저 해야 하는 것이다. :보리떡 5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져오는 것은 내 분량이다.

④마침내 두려움이 왔다.

인간은 인간이 할 수 있는데 까지 했는데도 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 두려움을 가진다.

오늘의 제자들은 「죽게 되었다」고 주님을 깨우고 있다.

☞☞ 그러나 우리는 걱정하지 않는 자가 되어야 한다. ⇨ 주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4.여전히 주무시는 주님

①주님은 물이 가득 찼는데도 주무신다.

제자들은 「우리가 죽게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제자들의 급박한 생각이고 지금 주 님은 그렇지 않다. 주님에게는 급박하지 않다....

②오늘 제자들은 주님을 깨운다

「제자들이 깨우며 가로되」

그러나 영적으로 보면 지금 주님은 「제자들의 믿음을 깨우고 있다」

Ⅲ.주님이 어떻게 제자들의 믿음을 깨우고 있는가?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워 하느냐? 너희가 어지 믿음이 없느냐?」 ⇨이 말씀으로 깨우고 있다.

일단 주님은 바람을 먼저 꾸짖으시고 그리고 제자들을 꾸짖으시고 있다.....

1.제자들은 그 배에 주님이 함께 타고 계신다는 것을 알아야 했다.(이것을 깨우치고 있다)

이 배는 주님이 타고 계시기 때문에 절대로 전복될 배가 아니다.

우리 성도들은 예수님과 함께 배를 타고 있는 자들이다.

우리 교회는 예수님이 함께 배를 타고 있는 배다.

우리 가정들은 예수님이 주인으로 함께 배를 타고 계시는 배다.

2.건너편으로 가자고 하신 분이 주님이심을 알아야 한다.

주님이 가자고 하시는 길은 생명의 길이고, 영생의 길이고, 성공의 길이고, 은혜를 체험할 길임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이 홍해의 길로 가게 하셨다.

주님은 우리들에게만 가라고 하시는 분이 아니다. 함께 가자고 하시고 함께 가시는 분이다.

Ⅳ.결 론

1.주님의 말씀에 바다는 「큰 풍랑」에서 ⇨ 「아주 잔잔하여지더라」

우리 교회와 가정과 성도들에게 이런 은혜가 있기를 축원합니다.

2.주님이 함께 하고 있다면 우리는 어떤 풍랑에도 두려워 하지 않는 자가 되어야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