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사도행전 22-1:예루살렘에서 잡혀서 설교하는 사도바울

사도행전 22:1~11

☞ 바울은 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왔다가 두 가지의 어려움을 당한다.

      하나는? ⇨ 믿는 유대인들로부터 율법과 할례 문제 때문에 고난을 당하고 타협하는 어려움.

      다른 하나?  아시아에서 온 유대인들로부터 율법과 성전을 훼방하는자라는 소동으로 잡힘(21:28)

※본장은 바울이 천부장 앞에서 그 스스로를 변호하고 있는 말씀이다.

      바울은 예루살렘에서 잡혀서 5번을 자기 변호를 하고 있다.

        ꠆ꠏ①21:40-22: :천부장과 유대민중 앞에서

        ꠐ ②23:1-13:공회 앞에서

        ꠐ ③24:1-23:총독 뵐릭스 앞에서

        ꠐ ④25:6-12:총독 베스도 앞에서

        ꠌꠏ⑤26:1-23:아그립바 왕 앞에서

Ⅰ.바울의 회심전의 모습

   ※성경에서 바울의 회심에 대한 말씀에 대해서 5번을 언급하고 있다.

       ①사도행전9장:바울의 회심에 대한 역사적인 사건 설명

       ②사도행전22장:자기의 회심에 대한 히브리적인 설명

       ③사도행전26장:자기의 회심에 대한 이방적인 설명

                      (로마총독 베스도와 아그립바 왕 앞에서의 변호로 하나님께서 그에게

                       어떻게 역사하셨는가를 설명)

             내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유대인에게 물어 보라, 그들이 다 알고 있다.

                  ⇨ 그런데 내가 예수님의 증인이 되었다.

                       ⇨ 아그립바 왕이여 선지자를 믿는가?

                              그 선지자들이 말한 예수가 구원자이다. 그러니 당신도 믿으라...

          아그립바 왈  “네가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도가”(26:28)

              복음은 적은 말이다!!! ⇨ 많은 말이 아니다.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영접하는 자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아들을 믿는 자는 영생이 있고 아들을 순종치 아니하는 자는 영생을 보지 못하고  도리어 하나

                  님의 진노가 그 위에 머물러 있느니라”(요3:36)

       ④빌립보서3장:여기서 그는 그의 종교가 무엇이었는지, 그의 소망이 무엇이었는지, 그가

                     주 예수를 알기전에는 무엇을 믿고 있었는지를 말한 다음에 그로 하여금

                     그 자신의 의에 대한 모든 신뢰를 포기하게 만들었던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의의 놀라운 계시에 대해서 말씀.

                육체신뢰, 학벌신뢰, 가문신뢰, 율법신뢰 ⇨ 배설물과 같이 버림

                              ⇨그리스도를 얻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기를 재 발견하게 됨

       ⑤디모데전서1장:그가 불신앙 가운데 있을 때에는 어떤 사람이었으며 구원 받은후 하나님

                       이 그를 어떻게 써시고 있는가를 설명(복음의 사역자에게 자기 입장)

              포행자, 악행자, 죄인중의 괴수 ⇨ 일체 오래 참으심을 보임 ⇨ 복음을 맡기심

1)“나는 유대인이다.”(3절)    혈통적인 보증

     바울은 이 말을 하면서 히브리말로 했다. ⇨ 이것은 자기의 확실한 근거를 밝히는 말이다.

      ※ 당시에는 이스라엘에도 세계 공통어인 헬라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유대인이면서 헬라말을 하는 사람은 이방인 유대인(디아스포라=헬라파 유대인)이라

         는 결론을 내려 주게 되는데

       본토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은 자기들 보다 더 신앙적인 우위에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왜? 오직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흩어져 살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자부심이 있었다.

           (사도행전 6:1에 보면 구제 문제로 헬라파 유대인이 히브리파 유대인을 원망하는 모습)

  2)길리기아 다소출신    출신적인 보증

      디아스포라 유대인이라는 것을 확실히 밝힘

3)가말리엘 문화생      학문적인 보증

     ※당시 최고 랍반 3인중의 1인자(가말리엘, 힐렐, 샴마이)

     ※이스라엘에는 선생을 의미하는 말이 3개가 있다.

         ꠆ꠏ랍:선생

         ꠐ 랍비:수준의 선생(나의 선생)

         ꠌꠏ랍반:최고의 존칭(우리의 선생)

     ※성경에서는 가말리엘의 모습이 한번 언급이 되어 있다.

           사도행전5:34 “바리새인 가말리엘은 교법사로 모든 백성에게 존경을 받는자라.”

4)하나님께 대하여 열심이 있는자.  신앙적인 보증

     그러나 이것을 사도 바울은 로마서에서?

         “저희가 하나님께 열심히 있으나 지식을 좇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모르고

          자기 의를 세우려고 힘써 하나님의 의를 복종치 아니하였으니라”(롬10:2~3)

      그리고 갈라디아서 1:14에서는

             내가 내 동족 중 여러 연갑자보다 유대교를 지나치게 믿어 내 조상의 유전에 대하여               더욱 열심이 있었으나”

      ⇨ 그 자신은 하나님께 대해서 열심은 있었으나 사실은 하나님을 대항하는 열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나님이 인간의 몸을 입고 오셨는데 그 분을 대적하였다.

                   그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흘리신 피를 거부하였다.

                   그 예수님을 통하여 구원 받은 성도들을 핍박하였다.

                   예수님을 통하여 세운 교회를 대적하였다.

           ⇨ 자기는 하나님이 좋아 하는 일을 한다고 하지만 사실은 싫은 일만 골라 한 자였다.

     그래서 주님은 바울을 보고 무엇을 하는 자라고 했는가?

        “우리가 다 땅에 엎드러지매 내가 소리를 들으니 히브리 방언으로 이르되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가시채를 뒷발질하기가 네게 고생이니라” (행 26:14)

          ex) 농촌의 고양이 새끼?

  5)그리스도를 핍박하던자.         행위적인 보증

    위의 모습에서 모순되는 모습을 본다.

      하나님께 대하여 열심이 있는자는 그리스도에 대해서도 열심이 있는자가 되어야 하는데......

    ※바울은 자기의 바리새적인 열심이 하나님의 뜻인 줄 알았다.

      그래서 행8:3 “사울이 교회를 잔멸할새 각 집에 들어가 남여를 끌어다가 옥에 넘기니라”

      그러나 ꡔ내 생각ꡕ ꡔ인간적인 생각ꡕ이 결코 하나님의 뜻을 이루지 못함을 알아야 한다.

        인간들은 내 생각을 가지고 하나님의 뜻을 이룰려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실패로 끝난다.

  ☞ 열왕기하 5장에서 나아만이 엘리사에게 문둥병을 고치려 왔을 때 한 말

       왕하5:11“내 생각에는 저가 내게로 나아와 서서 그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고 당처

                위에 손을 흔들어 문둥병을 고칠까 하였노라.”고 하면서 돌아 갈려고 했다.

    ※사도 바울은 이런 자기의 어리석었음을 고백하고 있다.

      디모데전서1:13 “내가 전에는 훼방자요 핍박자요 포행자이었으나 도리어 긍휼을 입은

                      것은 내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행하였음이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