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배경(94): 주 예수 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빌립보서 3:7~9
작시:뤼 밀러(Mrs R. F. Miller);별로 알려진 것이 없음
작곡:죠지 베버리 쉬(G. B. Shea)(바리톤 가수)(1909~
1.작시자 뤼 밀러
○ 시카코 나사렛 감리교회 뤼 밀러 목사의 부인이었던 사람
이 시를 작곡자의 어머니에게 줌
2.이 시와 작곡자 죠지 베버리 쉬의 어머니
○죠지 베버리 쉬의 어머니는 이 시를 적은 노트를 가지고 10년이나 애송 해 오던 애송자였다.
그런데 죠지의 어머니가 그 노트를 잃어 버렸다.
그 시가 그녀에게는 신앙 간증과 같았고, 어려움을 이기게 하는 좋은 가사였다.
그래서 그것을 찾으려고 노력을 하였으나 찾지 못하고 있다가
우연히 집을 정리하다가 그 시를 다시 찾게 되었다.
3.작곡자 죠지 베버리 쉬
목사의 아들
1928년(1929년 미국 대 공황) 미국 대 공황이 다가오는 가운데 경제의 침체, 기업들의 도산
실업자들이 속출되던 상태
이 시기 학턴대학(Houghton College)에 다니던 죠지에게 아버지의 편지가 왔다.
사랑하는 아들아!
네 어머니와 나는 이 일을 위해 기도해 왔고 우리가 아는 방법이란 모두 생각해 보았으나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가을 학기에 너를 학교에 보낼 형편이 되질 않는구나, 나도 알다시피 요즘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한 1년 쯤 직장을 잡아 일을 해서 돈을 모아 다시 학업을 계속해야 될 것 같다. 이 일에 관해 뉴욕에 있는 뉴욕 상호보험회사 의무부의 주사로 있는 내 친구 해롤드 비즈(Harold Vaege)씨에게 이야기 하였던 바 그의 사무실에서 같이 일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한다.....
○ 죠지는 아버지의 제안대로 뉴욕 상호 보험회사에서 근무하게 됨
○ 그러던 중 우연히 NBC 라디오 방송국 편성부장 프레드 알렌(Fred Allen)을 알게 되었고
죠지가 노래를 잘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어 노래를 부르게 되었다.(22살 때)
1,500명의 방청객과 전국 청취자들이 듣는 가운데 「모세여 내려 가오」라는 찬송을 불렀다.
그런데 이것이 상상외의 호응을 얻게 되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계속 라디오 출연을 제의 받게 되었다.
(☞ 당시는 대 공항을 앞두고 대량 실직 상태가 오고 있는 상태에서 절호의 기회였다.)
○죠지는 희망에 부풀었고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그때 그 어머니가 이 시를 보여 주며 읽게 했다.
⇨ 어머니의 걱정은 아들이 저속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정기적으로 출연하여
세상적으로 출세를 했을 때의 위험을 내다보고
그것을 이길 수 있는 신앙의 바탕이 없이 명예나 인기가 상승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는 것이었다.
○죠지도 이 문제를 놓고 기도를 했다.
그러던 어느 주일 아침, 교회에서 부를 찬송을 연습하고 있을 때 어머니가 준 시가 생각났다.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이 찬송을 치고 있었다.
이 찬송을 듣고 부엌에 있던 어머니가 달려와서 그 노래를 따라 불렀다.
그날 주일 교회에서 처음으로 이 복음성가를 불렀다.
○ 수일 후 NBC 라디오 편성 부장을 만나서 방송국 출연을 거부했고
그 뒤 1947년부터는 빌리 그레함 목사와 함께 하면서 성가 가수로 활동하였다.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제롬 하인즈(Jerome Hines)라는 미국인 오페라 가수 지망생이 있었다.
그는 피나는 노력과 연습 끝에 더디어 뉴욕 메트로폴리탄의 오페라 가수가될 수 있었다.
그는 오페라 공연이 없는 어느 날 공허한 가슴을 달래면서
텔레비전 앞에서 채널을 이리 돌리고 저리 돌리고 있었다.
마침 미국의 최고 복음전도자 빌리 그레이엄목사님의 전도설교 시간이 되어
설교 전 죠지 베버리 쉐아(George Bevery Shea)의 영감어린 바리톤 음성이들려오기 시작했다.
“주 예수 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라는 이 찬양이 울려 퍼지는 순간
제롬 하인즈는 성령의 은혜에 감전되면서 놀라운 감동을 경험하게 됩니다.
“나도 하나님의 거룩한 도구가 되리라, 나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리라."
다짐했지만 평상심을 회복하여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기로 하면서 현실에 적응하며 살았다.
그렇게 하여 오페라 가수로 활동을 시작한지 10여년의 세월이 흐른 어느 날
더디어 그렇게도 소원하던 오페라의 주인공으로 택함을 받는 영광을 차지
하게 됩니다.
계약서에 사인을 하고 대본을 받아 연습을 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처음 서곡에서 주인공의 춤이 나오는데 대본과는 달리 거의 나체나
진배없는 모습으로 춤을 추도록 요구하는 것이었다.
심지어는 노랫말의 대본을 고쳐서 우리 입에 담기에 저질스러운 욕설까지 내뱉게 했다.
그는 신앙 양심상 마음에 걸려 제작진에게 항의를 시도해보기도 했으나
현대인들에게 어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다고
하면서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한다.
제롬은 자신의 뜻이 반영되지 않고 거부당하게 되자 노래 부르는 것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계약 파기에 따른 막대한 위약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페라 가수 직을 미련 없이 버리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새로운
찬양사역자의 길을 걸어가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간증 집에 의하면 그가 오페라단 사무실에 사표를 내고 나오는 순간,
그 기쁨이야말로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후 느꼈던 것 중에 가장 커다란 기쁨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해가 저물어가는 뉴욕의 밤거리를 걸어 나오면서
그는 자신에게 그렇게도 쇼킹한 감동을 주어 자신을 매료시키며 변화시켰던
조지 베버리 쉐아가 불렸던 찬양“주 예수 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를 밤하늘
을 향하여 영감 있게 부르기 시작합니다.
“주 예수 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이 세상 부귀와 바꿀 수 없네
영 죽을 내 대신 돌아가신 그 놀라운 사랑 잊지 못해
세상 즐거움 다 버리고 세상 자랑 다 버렸네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예수 밖에는 없네”
‘빌리 그래함 부흥회’에 일생을 바친 작곡가 죠지 쉐아(George B. Shea)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대학을 중단하고 있던 때에, 라디오 출연 교섭이 들어왔다.
그는 ‘부귀' 와‘명성’이 따르는 가수의 길을 앞두고 갈등했으나, 어머니가
보여주신 이‘찬송시’를 생각하며 복음성가 가수가 되기로 결심했다.
이‘찬송시'를 근거로 1925년 죠지 쉬어의 부인 뤼이 밀러(Rhea F. Miller)
가 작사했고, 1929년 죠지 쉬어가‘빌리 그래함 부흥회’즉석에서 작곡하였고,
그‘빌리 그래함 부흥회’에서 처음 불려진 뒤 전세계적으로 애창되었다.
우리가 즐겨 부르는 찬송 102장은 G.B. Shea라는 분이 작곡한 것입니다. 그는 어렸을 때 예수를 믿었습니다.
교회학교에도 열심히 나갔습니다. 그런데 세상에서 출세하고 돈을 벌면서 점점 이 사람의 마음속에서 예수님이 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시카고방송국의 연출가였고, 인기 절정의 가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돈은 많이 벌면서도 마음이 허전했습니다.
출세를 하면서도 마음속에서 불안이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성경을 읽다가 갑자기 어릴 때 믿던 예수님에 관한 추억과 향수가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지금 인생을 낭비하고 있구나'하는 생각이 그를 사로잡았습니다.
이런 생각에 사로잡혀 있을 때 어느 성회에 참석하게 되고, 거기서 예수님께 대한 헌신을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왔을 때 방송국에서 전화가 걸려 왔습니다.
다시 전속계약을 하면 지금까지보다 몇 갑절의 출연료를 주겠다는 내용의 전화였습니다. G.B. Shea는 "
나는 이제부터 내 모든 재능을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해 쓰기로 작정했습니다."라고 하며 방송국의 계약 청원을 거절했습니다.
그때부터 G.B. Shea의 마음속에서 멜러디가 흘러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어머니가 그녀의 친구인 밀러 여사에게서 가져왔던 시에 작곡을 했습니다.
"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이 세상 부귀와 바꿀 수 없네
영 죽을 내 대신 돌아가신 그 놀라운 사랑 잊지 못해
세상 즐거움 다 버리고 세상 자랑 다 버렸네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예수밖에는 없네"
내 모든 것을 다 버리고서라도 소유해야만 하는 보물이 있습니다. 그 보물이 예수님이십니다.
'찬송가 배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송가 배경(96장):예수님은 누구신가? (0) | 2025.03.05 |
---|---|
찬송가 배경(382):너 근심걱정 말아라 (0) | 2025.03.04 |
찬송가 배경(379장):내 갈 길 멀고 밤은 험한데 (0) | 2025.02.28 |
찬송가 배경( 413장): 내 평생에 가는 길 (0) | 2025.02.26 |
찬송가 배경(28): 복의 근원 강림하사 (0) | 2022.10.17 |